2024. 11. 11. 23:03ㆍ경제 이야기
연말정산을 준비할 때, 가장 처음에 해야 할 것이 바로 전년도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하는 것입니다. 계획했던 대로 소등공제와 세액공제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며, 세율이 결정되는 과세표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인터발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목차
원천징수영수증 발급방법
원천징수영수증은 국세청홈택스 사이트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홈택스에 방문하여 로그인을 합니다. 로그인 방법은 공동인증서, 간편인증, 아이디 등으로 가능합니다.
로그인을 하신 후, 검색창에 원천징수영수증을 검색합니다.
【My홈택스 > 연말정산/지급명세서 >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】 메뉴를 선택합니다.
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 팝업창이 뜨면, 전년도(귀속년도 2023년) 근로소득지급명세서를 선택합니다. 보기 버튼을 누르면 팝업 창으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보실 수 있습니다.
원천징수영수증 주요 숫자 의미
전년도 원천징수영수증의 주요 숫자는 연말정산 전략을 세울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 특히 ① 총 급여, ② 근로소득금액, ③과세표준 등이 중요한 숫자라고 생각됩니다.
원천징수영수증은 다음과 같은 양식이며, 소득세법 시행규칙 별지 제24호 서식입니다. 양식은 아래에서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.
연말정산 주요 절차
연말정산의 주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급여와 상여를 합한 ① 총 급여에서 → 근로소득공제액을 빼면, → ② 근로소득금액이 됩니다. → 여러 가지 소득공제 항목을 모두 공제하면 → ③ 과세표준이 됩니다. →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면 산출세액이 되고 → 여기서 세액공제 항목을 적용하여 빼면 → 결정세액이 확정됩니다.
① 총 급여
총 급여는 급여와 상여를 합친 금액입니다. 비과세 항목은 합치지 않습니다.
- 의료비는 연봉의 3% 이상 사용금액에 대하여 세액공제가 됩니다. 이 때 연봉이 바로 총 급여를 의미합니다.
- 신용카드 소득공제 기준에서도 연봉의 25% 이상을 사용해야 소득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데, 이 때 연봉도 총 급여를 의미합니다.
- 연금저축, IRP의 세액공제 기준도 총 급여가 5,500만원 이하인 경우와 초과의 경우 각각 16.5%, 13.2%의 세액공제율을 적용 받습니다.
② 근로소득금액
근로소득급액은 총 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액을 뺀 금액입니다. 근로소득공제액은 소득세법으로 정해져 있으며, 총 소득 크기에 따라 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.
2024 연말정산, 근로소득공제 및 소득세율
연말정산 절차 중, 총급여에서 가장 먼저 빼는 것이 근로소득공제 입니다.(소득세법 제47조) 근로소득공제에서 소득공제 항목을 추가로 빼면 과세표준이 결정되며, 과세표준에 따라 소득세율이
juicy-story.com
- 근로소득금액은 기부금 공제한도의 기준이 됩니다.
- 또한, 부녀자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는 기준으로도 사용됩니다.
③ 과세표준
과세표준은 ① 총 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액을 뺀 ② 근로소득금액을, 인적공제 등을 포함한 소득공제 항목을 제외한 후의 금액 입니다. 종합소득세율 구간의 기준이 됩니다.
부부 연말정산 계획을 짤 때, 세율 구간의 변동이 임박한 배우자에게 소득공제를 추가해 주면 세율 구간을 막아서 절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이상으로, 연말정산의 전략을 세울 때 꼭 필요한 원천징수영수증의 인터넷 발급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. 연말정산의 전략을 효과적으로 짜기 위헤서는 전년도 원천징수영수증을 확실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.
연말정산 성공적으로 계획하셔서 13월의 월급으로 만족스럽게 환급 받으시길 바랍니다.
※ 함께 보시면 좋은 글
고향사랑기부제 연말정산 세액공제 및 3만원 답례품 받기
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, 기부금은 그대로 세액공제로 돌려받고, 3만원 상당의 지역특산품 답례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「고향사랑e음 홈페이지」에서 답례품이 마음에 드는 주민등록지 외의 지
juicy-story.com
근로소득간이세액표 : 월급에서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(2024 연말정산)
직장인이 월급을 받을 때,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매월 납부합니다. 월급명세서를 보면 세금이 원천징수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어떤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할까요? 이렇게 납부한 세금
juicy-story.com
맞벌이부부 연말정산 몰아주기와 tip (소득공제, 세액공제)
맞벌이부부는 연말정산을 어느 쪽으로 몰아줘야 이익일까요? 무조건 한쪽으로 다 몰아주는 것이 좋을지, 반반 나눠 가져가는 것이 좋을지,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항목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알
juicy-story.com
'경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장애인전용 보장성보험 전환으로 연말정산 세액공제 받기 (2) | 2024.11.13 |
---|---|
고향사랑기부제 3만포인트 이상 답례품 사는 방법 (0) | 2024.11.12 |
종합소득세 세율, 계산방법 (연말정산, 종합소득세 신고/납부) (3) | 2024.11.09 |
허그(HUG) 전세보증보험 주택가격 산정기준 (3) | 2024.11.09 |
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모바일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(1) | 2024.11.08 |